규칙 3 - 역사와 문화적인 문맥안에서 해석

먼저 우리는 그것은 나에게 어떤 의미인가?라고 묻고 있지 않습니다. 대신 그것은 원래의 읽는이들에게 어떤 의미였는가?라고 묻습니다; 나중에는 그것은 나에게 어떤 의미인가?라고 물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저자와 읽는이들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해야만 합니다.

예 3A

밤낮 사흘을(마 12:40)은 특히 암스트롱주의자들이 이야기하는 "수요일 십자가 사건"을 떠올리게 합니다. 어떻게 예수님은 금요일 오후에 죽으셨다가 "제 삼일에 살아나야"(마 16:21)대로 일요일 아침에 부활할수 있었을까요? "셋" 또는 "날들"의 정확한 의미는 명백한 모순을 설명하는데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역사 이야기를 하나 나누겠습니다: 유대인들은 우리가 물양동이의 개수를 세는 것처럼(여섯개의 가득찬 물양동이와 반만 채운 양동이 한개를 일곱개라 세는 것처럼) 하루의 일부라도 하루 전체인양 날 수를 세었습니다. 유대인 방식으로는 하루의 일부라도 온전한 하루로 계산하고 각 날은 오후 6시에서 시작해서 오후 6시에 끝나므로, 금요일 오후 3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해서 1일, 금요일 오후 6시부터 토요일 오후 6시까지 해서 2일, 토요일 오후 6시부터 일요일 오전 5시정도까지 해서 3일입니다. 문화적 문맥 안에서의 해석은 우리가 곤란에 빠지지 않도록 해줍니다.

예 3B

창 15:7-21. 역사적 문맥에서 보면 두 조각의 쪼갠 고기 사이로 지나는 것은 아브라함 당시에는 계약을 진행하는 일반적인 방법 이었습니다.양쪽 당사자들은 그들의 계약을 이행하지 않으면 파멸이 그들에게 일어 날 것이라는 맹세와 함께 쪼갠 고기 사이를 걸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하나님 만이 지나셔서 일방적인 언약을 만드셨습니다.